Computer Generated Imagery (CGI)/Animation

3D 애니메이션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Pre-Production]

Gamestonk118 2025. 3. 22. 23:49

이 블로그는 애니메이션 및 VFX를 포함하는 전반적인 CG기술들에 대해 다루게 될 블로그이며 생각보다 한국어로 된 짜임새 있는 정보글들을 찾기가 쉽지 않아 한번 작성해 보기로 하였습니다. 만약 부정확하거나 수정 사항이 발견된다면 댓글로 알려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애니메이션  파이프라인 (Animation Pipeline)


많은 사람들은 항상 말한다. 저 3D 애니메이션 영화는 도대체 얼마나 많은 돈과 인력 그리고 기술을 통해 이렇게 까지 만들었냐고. 물론 나도 어느정도의 파이프라인이 돌아가는 것을 이해는 하지만 정말 얼마나 많은 자산들이 투입되었는지 감이 안될 지경이다. 물론 여전히 누가 만들겠느냐. AI가 떠오르고 있다지만 아직은 인력이 투입되어서 만드는 산업. 결국은 사람들이 투입되어서 만드는 것이다. 그렇지만 정말 정교하고 아름다운 결과물을 만들기 위해 어마어마한 수의 인력들은 스튜디오 내부 시스템을 통하여 각자의 역할의 맞게끔 자신의 할 일을 수행하며 결과물을 내기 나름이다. 

 

이때 파이프라인 (Pipeline)이라는 개념은 정말 중요하게 작동하는데 마치 수도관에서 수도꼭지까지 이어지는 배관처럼 각자의 역할들이 한 줄로 모여 3D 애니메이션이라는 결과물을 만들기 위해 각자의 역할에서부터 나오게 된 결과물들을 최종 결과를 유치하기 위해 기여하게 되는 과정을 겪게 된다. 

 

파이프라인을 크게 정리하자면 스토리 개발 (Story Development), 아트 부서 (Art Department), 편집팀 (Editorial), 에셋 제작 (Asset Creation), 애니메이션 (Animation), 후반 제작 (Post-Production), 기술 감독 (Technical Direction), 그리고 제작 조정 (Production Coordination)으로 나누어지는데 이번에 소개할 과정은 Pre-Production 즉 본격적인 프로덕션에 들어가기 전에 수행되는 역할들을 소개할 예정이며 이는 아트 부서, 편집팀까지 포함된다. 

 

이번에 소개할 관련 파이프라인은 초기에 진행되는 프리프로덕션 (Pre-Production) 단계에서 진행되는 과정들을 소개 할 예정이며 프리프로덕션 이후에 진행되는 다음 과정들은 다음 포스팅에 관련 글을 계시할 예정이다. 

 

아트 부서 (Art Department)


아트 부서는 애니메이션의 비주얼 스타일과 디자인을 총괄하는 팀이며 작품의 분위기와 미적요소를 결정하여 스토리의 세계관을 구축하는 역할을 한다. 애니메이션 초기 제작 단계에서 스토리 개발 다음으로 가장 먼저 수행되는 단계이며 이때를 기점으로 본격적인 작품을 구축하는 계기가 된다.

 

콘셉트 아트 (Concept Art)


아마 애니메이션을 본격적으로 만들기 시작한다면 거의 모든 스튜디오에서 제일 먼저 진행할 작업은 콘셉트 아트 작업일 것이다. 애니메이션을 구상하기 전에 추상적인 이미지들을 직접 그리거나 아니면 이미 존재하는 자료들을 레퍼런스로 삼아 어느 정도의 초반 이미지 구상을 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많은 사람들은 이미 느꼈을 것이다. 백지에서부터 만드는 것보다 무언가 레퍼런스가 있을 시에 그때부터 구상을 하게 되면 작업하기 쉽다는 것을. 이 말은 애니메이션도 마찬가지로써 작동한다. 애니메이션에서 캐릭터, 배경, 소품, 그리고 분위기들을 시각적으로 구성하는 초기 디자인 과정을 진행하며 작품의 세계관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첫 단계로써 역할을 수행한다.

컨셉 아트 (Concept Art)

 

스토리보드 (Storyboard)


스토리보드는 애니메이션에서 장면의 흐름을 시각적으로 정리한 콘티 작업을  뜻하며 쉽게 말해 만화처럼 장면을 하나하나 그림으로 나열해 연출을 계획하는 과정이다. 스토리보드는 각 장면의 카메라 앵글, 컷 구도, 그리고 캐릭터 움직임을 미리 정리하여 감독과 애니메이터가 참고를 할 수 있게끔 역할을 하며, 제작팀 간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돕는다. 스토리보드 없이 바로 제작시에 수정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초기 단계에서 연출을 점검하여 시행착오를 최대한 줄일 수 있게끔 하는 효과를 주기도 한다.

스토리보드 (Storyboard)

 

애니매틱 (Animatics)


애니메틱은 스토리보드를 영상으로 변환한 초기 형태의 애니메이션이며 스토리보드를 컷 순서대로 편집하고 기본적인 타이밍과 사운드를 추가한 영상으로 보면 된다. 애니메틱은 연출 및 타이밍 테스트의 역할, 스토리보드의 역할과 마찬가지로 제작팀간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예산 및 제작 시간을 절감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애니매틱 (Animatics)

 

디자인 (Design)


디자인은 본격적인 애니메이션을 만들기 위해 등장하는 캐릭터, 혹은 사물, 그리고 배경등을 디자인하고 초기 작업에 반드시 필요한 요소들을 본격적으로 만드는 작업을 말한다. 디자인은 단순히 예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기능과 미적 요소를 조화롭게 구성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말하고 형태, 색, 구성, 텍스쳐 그리고 타이포그래피를 주로 담당하게 된다.

 

이때 캐릭터를 디자인하는 것을 캐릭터 디자인 (Character Design), 사물을 디자인하는 것을 프롭 디자인 (Prop Design), 배경을 디자인을 하는 과정을 매트 페인팅 (Matte Painting)이라고 일컫는다.

캐릭터 디자인 (Character Design)
프롭 디자인 (Prop Design)
매트 페인팅 (Matte Painting)

 

편집팀 (Editorial)


편집팀은 애니메이션의 프로덕션을 본격적으로 제작하기 전에 장면들을 사전에 시뮬레이션 하는 과정인 프리비즈, 애니메이션에 애셋들을 배치하는 작업인 레이아웃 그리고 이들은 초반 제작과 본격적인 제작사이의 다리 역할을 하게 된다.

 

레이아웃 (Layout)


레이아웃은 애니메이션, 영화, 게임 등에서 장면의 구성과 카메라 배치, 캐릭터 및 오브젝트의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을 뜻하며 다음에 설명하게 될 프리비즈가 애니메이션을 구현하여 동적인 부분을 검토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인 반면 레이아웃은 배경, 캐릭터와 사물들의 위치들과 구도들을 비롯한 정적인 부분들을 컴토하기 위해 필수적인 과정이라 보면 된다.

레이아웃 (Layout)

 

프리비즈 (Previs)


디자인은 본격적인 애니메이션을 만들기 위해 등장하는 캐릭터, 혹은 사물, 그리고 배경등을 디자인하고 초기 작업에 반드시 필요한 요소들을 본격적으로 만드는 작업을 말한다. 프리비즈는 스토리보드 기반으로 3D 장면을 제작하게 되고 기본적인 카메라 움직임 및 캐릭터 애니메이션을 추가하게 된다. 또한 간단한 조명 및 프레임 구도를 테스트하며 필요한 효과들을 샘플로써 추가한다. 또한 최종 촬영 또는 애니메이션 단계로 넘어가기 전에 검토하는 역할을 한다.

프리비즈 (Previs)

 

이때 아마 스토리보드, 애니매틱 그리고 프리비즈가 애니메이션의 전체적인 스토리를 먼저 보여줌으로써 검토하는 역할로써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헷갈리는 분들이 있을 것이다. 이는 이를 통해 구분을 할 수 있다.

항목 스토리보드 (Storyboard) 애니매틱 (Animatic) 프리비즈 (Previs)
형식 정적인 그림 (컷별) 간단한 영상 (움직임 있음) 3D로 만든 영상
활용 목적 장면 구도 및 흐름 정리 타이밍 & 컷 전환 테스트 전체적인 카메라 연출 확인
주요 요소 컷 순서, 대사, 카메라 앵글 컷 편집, 기본 모션, 사운드 3D 모델, 실제 카메라 움직임
예시 애니메이션 콘티 초기 영상 편집본 영화 VFX 작업용 영상

 

 

마치며


지금까지 애니메이션에서 초기단계로써 수행되는 초반 작업 (Pre-Production)의 단계 안에서 진행되는 각자의 역할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초반작업은 주로 애니메이션의 프로덕션에 본격적으로 들어가기 전에 검토할 부분들을 확인하며 진행되는 부서들로 주로 이루어져 있으며 또한 디자인 작업의 시초가 이루어지는 시발점으로써도 역할을 하기도 한다. 다음 포스팅에는 제작 단계 (Production)에서 어떤 과정들로 이루어져 있는지 소개할 예정이다. 이 글이 많은 사람들에게 궁금점을 풀어주었으면 한다.